변모하는 지구촌 오지 소식 /Noticias del mundo 세계는 지금n

이탈리아 남부 시골마을, 외국 난민 수용으로 지역경제 되살렸다

azul 77 2011. 7. 7. 20:41

 

 

 

 

 

 이것은 역사적 건물 조각물 중 하나입니다.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손으로 새겨 포털 pitra은 후반 17 세기의

 건축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라운지, 저택의 전형적인 테라스.

 

 

 

 

 

 

 그것은 마을의 북쪽에 고향입니다. 테라스는 아름다운 풍경을 내려다 : 건설 주택, 나라의 중심, 계곡, 경로 및 Marinas

 호텔 조각상과 콜필드의 타워.

 

 

 

 

 역사적인 센터, 바다 전망 좋은 넓은 골짜기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층에 두 개, 작은 베란다, 서비스, 나무

 계단으로 연결된 1층에 부엌이 집안의 역사를 표시 했습니다 한번은 젊은 쿠르드족의 독립을 위해 싸우는 이민자의

 홈이 되었던적도

 

 마을 세인트 앤,이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집은 레몬 나무, 오렌지와 석류가있는 넓은 정원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것은 장엄한 중세 게이트와 1783 년 지진에 의해 파괴된 산타 캐서린의 교회의 유적에서 10 미터 떨어져있는

 사우스 이스트에있는 첫 번째 마을 하우스 casa입니다.

 

 

 

 바다의 푸른에 대해, 지중해 계곡 산책로와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멋진 파노라마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진에 의해

 파괴에서 옛날 올드 타워 옆, 성령 교회에 첨부

 

 

 

 

이것은 칼라 브리아 시작하는 900의 전형적인 건축이다. 전통 기와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ciaramidi"훌륭한 위치에

덮여 지붕의 폭포에서, 역사적인 중심부에 있게 되었습니다.

 

 

 

http://www.cittafuturariace.it/it/Attivita/Riace % 인 20Village/case.php? pag = 알바 % 20Chiara

 

 

 

이탈리아 남부 리아체 "난민 언제나 환영"

(리아체 < 이탈리아 > AFP=연합뉴스) "이 마을 주민들은 다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답니다. 마치 한가족 같아요."

4년 전 아프가니스탄을 떠나 부인, 두자식과 함께 이탈리아 남부의 작은 마을 리아체에 정착한 아사둘라 아흐마드

자이는 인구 1천800명의 이 마을에서 고향에서 수입한 가방과 보석을 팔고 있다.

아흐마드자이는 발칸반도의 여러 국가와 에리트레아,이라크 등에서 탈출해 이곳에 정착한 200여명의 난민중 하나

다. 며칠 뒤에는 리비아에서 130명의 난민이 또 도착할 예정이다.

이탈리아 남부의 다른 마을들과 마찬가지로 리아체도 지난 수십년간 많은 주민들이 미국,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북부 등지로 떠나버렸다.

그러나 리아체는 세계 각지의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지역경제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현재도 지중해의 뛰어난 풍경을 배경으로 한 수십 채의 석조가옥이 난민들의 거주를 위해 수리 중이다.

담뱃가게와 빵집, 과일가게, 채소가게가 새로 정착한 난민 주민들 덕분에 다시 번성하고 있다. 이들이 지역의

영세업 들을 다시 일으켜 세운 것이다.

이 마을의 오래된 주민들은 "난민들은 언제나 환영한다"고 말한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의 최대 동맹세력이자 외국인을 혐오하는 북부연맹이나 다른 지역 인종차별주의자의

발언과 대조적이다.

87세의 니콜라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영토였다가 나치에게 점령당했던 고리치아 지역의 난민들을

수용했던 것을 회상하며 "리아체에는 손님을 환대하는 전통이 있다"고 말했다.

아흐마드자이는 "안코나(지역 이름)에 있는 친구의 식당에서 한 달에 2천유로(2천900달러)까지 받으면서 일한 적

이 있었는데 아들이 매일같이 '리아체로 돌아가자'며 울었다"면서 그곳에서는 외국인들에게 험하게 대하고 나쁜

말을 한다"고 전했다.

2004년부터 리아체의 시장을 맡고 있는 도메니코 루카노는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주민들의 이주로 버림받은

마을이 외국 난민들의 정착과 함께 새로이 다시 활기를 찾았다"고 밝혔다.

루카노는 이탈리아 정부의 난민 수용 시설을 '집단구금센터'라고 비난하면서 이들을 리아체와 같이 작은 마을에

정착시키는 것이 그런 시설을 운용하는 것보다 훨씬 비용이 적게 든다고 지적했다.

외국 난민이 리아체에 정착하는 과정을 포함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은 이탈리아어로 '미래의 도시'라는 뜻을 가진 '

시타 퓨투라(Citta Futura)'라는 이름의 협회(http://www.cittafuturariace.it)에서 모두 집행하고 있다.

리아체의 이와 같은 사회적 실험은 독일의 영화 감독 빔 벤더스에 의해 지난해 단편 3D 다큐멘터리 영화 '일 볼로

(Il Volo)'로 제작돼 루카노 시장과 정착 난민들이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루카노는 "외국 난민들과 함께 일을 하면서 학교도 다시 열 수 있었고 지역의 여러 영세업들도 되살아났다"면서 "

우리는 세상에 인도주의적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