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전에 30년산 와인을 사셨다구요? 그렇다면 1983년도에 1930년산 와인을 사셨단 이야기인데...
정말 라벨에 "1930"이라고 수확년도가 써있었나요?
정확한건 아니지만.. 로버트파커의 빈티지챠트 에서도 1970년도까지밖에 찾을수가 없어서 다른곳을 돌아다니다 보니..
굉장힌 안좋은 빈티지라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또 보르도 특등급와인인 샤또 무똥로췰드의 무똥까데가 탄생한 빈티지가 1930년이라는 일화도 있네요.
기후가 너무 안 좋아서 샤또 무똥 로췰드를 만들수 없자 막내급의 와인으로 만들어 팔았다는...
일단 궁금하신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당연히 매각하실때 그냥 1930년산 이라고만 하시면 됩니다.
지금이 2008년이니 1930년산이라면 당연히 무슨 50년 숙성이라던지 그런거 표기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질문하신분은 30년 에이징(숙성)과 1930년산 (포도수확년도)의 지식이 없으신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따라서 질문하신 모양새로 봐서는 30년산 와인이 아닌 위스키정도의 범주에 들어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만약에.. 정말 그 술이 와인이 맞다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1930년산이었다면 20년 전에도 국내에서 구매하실 수 있는 가능성은 극히 희박합니다.
20년전인 1998년에 사셨어도 이미 53년정도가 지난 와인일텐데 53년간 떠돌다가 국내에
와인붐도 없던 시절인 20년전에 들어왔다 ... 뭐 그렇다 치구요...
더군다나 1930년산이라고 하면 지금 73년째 거의 병에 담겨져 있었다는 이야기인데...^^;
글 쓰면서 찾아보니 다른 이야기들도 있네요.
e-bay에서 1930년 빈티지가 최고 1900달러 정도에 판매가 되고 있기는 하네요.
어떤 외국 싸이트는 좋은 해라고 하는데.. 어디가 맞는건지..ㅡ.ㅡ;
20년전부터 댁에 어디에 보관하셨나요?
정말 좋은 와인이었다 칩시다. 엄청난 가격의.... 지하에 혹시 습도와 온도가 적당한 창고가 있으세요? 아니면 댁에 좋은 전자와인셀러가 있으신가요?
그 20년의 세월동안 그 와인은 이미 힘을 다해 쓰러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어쨌거나 와인이라는 가정하에
정말 보관상태가 좋았다고 자부하신 다면 한 번 테이스팅을 해보시죠. 언제 그런거 마셔보겠습니까?
그리고 지금도 팔고 있는거 보면 마실 수 있는 와인일수도 있겠죠.
단 상했는지 모르고 드시면 탈이 나니까 전문가에게 상의 하시길..
그리고 멀쩡하다 싶으면 파셔야죠. 당연히 위에 말씀드린데로 그냥 "1930년산" 이것만 표기하시면 됩니다.
이베이에 몇가지 아이템들이 있으니까 한 번 찾아보시길.. 시세 얼만지...
그리고 오픈하지 않은 그런 올드빈티지의 와인은 상했더라도 분명 수집가나 등등의 사람들에게 값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에게 판매해보세요. 요즘은 태어난 해의 와인을 선물하기도 하더군요.
아무쪼록 위스키가 아니길 .. 그리고 드시고 탈나지 않으시길...
------------------------------------------------------------------------------------------------------------------------
질문에 문제가 있습니다.
질문내용으로 봐서 질문자는 와인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 분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분이 구입당시에 30년전 와인(대략 1958년 전후 빈티지)을 산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죠...
30년동안 숙성되어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와인이라면 적어도 그랑크뤼급 와인인데...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그런 와인을 팔지도 않았으려니와 팔아도 아마 어마어마한 가격일겁니다.
(예를 들어 2008년 현재 30년전인 1978년 빈티지의 그랑크뤼급 와인중에서도 30년동안 제대로 숙성가능한 와인이라면
적어도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 정도 할텐데 이런 와인 10병만 있어도 수억원까지 할 수 있겠죠)
바꿔얘기하면 그런가치있는 와인을 살 정도라면 어느정도 와인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질문수준과 맞지가 않습니다.
결론은 질문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거나, 정말로 돈을 쓸데가 없을 정도로 많아서 와인을 잘 모르지만 와인에 대해 투자목적으로 구입했거나 둘중에 하나인데... 당시에 우리나라에 와인에 대해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었겠습니까? 투자목적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죠...
결국 질문자체가 거짓말일 가능성이 가장 많고, 설사 투자목적이라도 질문수준을 보았을 때 사기를 당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죠. 그렇다면 그런 와인은 지금은 식초와 똑같은 상태이니 그냥 버리십시오... 아니면 주변에 와인좋아하시는 분께 드리면
와인라벨만이라도 건질 수 있을 듯하군요...
-------------------------------------------------------------------------------------------------------------------------
ㅡㅡ;;; 너무 어이가없네요... 와인의 30년빈티지라는건 30년에 오크통에서 숙성을 시키고 생산이 된것이지 30년 와인을 20년보관하면 부쇼일어나는 겁니다 ㅡㅡ; 썩기전에 파세요 ㅋ
이미 썩었겠네요 ㅡㅡ;;
보관과 숙성은 다른겁니다 ㅡㅡ;;
그리고 와인은 오래되었다고 비싼건 아닌걸로 알고있는데..
--------------------------------------------------------------------------------------------------------------------------
제가 알기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원래 양주와 와인 모두 숙성은 오크통에서 하지만
양주는 오크통에서 나오면 숙성이 멈추게 됩니다.
그래서 양주의 숙성기간을 나타내는 12년산 ,17년산 등으로 표시되지요
하지만 와인은 오크통에서 나와도 유리병에 담아도 숙성이 진행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와인은 병에 생산년도를 표기합니다.
하지만 포루투칼 지방의 와인인 포투와인에는 두가지 종류가있습니다.
통숙성포투와인과/병숙성포트와인입니다.
통숙성와인은 오크통에서발효중에 중성 포도 브랜디가 추가되어 숙성을 멈추게됩니다.
그래서 병입후 바로 마실수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맛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숙성 와인은 병입후에도 숙성시킬수록 좋아집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이 병숙성 와인에 속하므로
님이 보관하신 와인의 종류가 무엇인지에 따라 50산 와인 혹은 30년산와인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보관방법이 중요합니다.
저 니의 말처럼 보관을 알맞게 하였다면 아주 비싼 와인이 되겟습니다.
이상 고등어
------------------------------------------------------------------------------------------------------------------------
'나만의 관심 취미 생활 > Vintage Collection 관심품&소장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ench-coat (0) | 2010.11.16 |
---|---|
스웨덴의 자랑 버너와 전화기 세계적인 명품회사. (0) | 2010.02.24 |
MADE IN GERMANY DACORA (0) | 2008.05.14 |
Western Electric 102 with E1 Handset 1927~29년 (0) | 2007.12.13 |
이베이경매 TALKING MACHINE Phonograph (0) | 2007.12.12 |